728x90

STUDY 222

[BOOK]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415934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IT 시대의 필수 교양서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보내고, 컴퓨터로 일을 합니다. 또 음식점에서 키오스크로 주문하고, 가상현실에서 게임을 즐깁니다. IT는 더 이상 전문가들만의 이야 book.naver.com IT에서 일하고 있지만 처음 IT를 접했을 때 모르는 단어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아니지만 IT 관련한 내용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있다면 모르는 용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의 저자는 기획자, 개발자 그리고 강사로도 활동중이라고 하는데, 처음 기획을 시작했을 당시는 경영학과 졸업생으로 IT에 대해서는 아무런 ..

STUDY/etc 2020.12.16

[CSS] 수평 레이아웃 구성

[float + clear 속성으로 수평 레이아웃 구성하기] 먼저 수평으로 배치되어야 할 요소들에게 float:left 를 줍니다. 만약 특정 요소만 오른쪽에 고정되어야 한다면 right를 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을 감싸는 컨테이너를 하나 만들고, :after 가상 선택자에서 clear를 하도록 하면 됩니다. [예시] [결과]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하게 되면 복잡한 형태의 레이아웃도 만들 수 있습니다. main이 수평 컨테이너 역할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예시] [결과] [종합] 컨테이너는 고유하지 않습니다. 컨테이너 안에 다른 컨테이너가 들어갈 수도 있고, 컨테이너가 수직으로 여러 개 배치될 수도 있습니다. [예시] [결과]

STUDY/디자인 2020.12.16

[CSS] position 속성

[개요] position 속성은 태그를 어떻게 위치시킬지를 정의하며, 아래의 5가지 값을 갖습니다. static : 기본값, 다른 태그와의 관계에 의해 자동으로 배치되며 위치를 임의로 설정해 줄 수 없습니다. absolute : 절대 좌표와 함께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relative : 원래 있던 위치를 기준으로 좌표를 지정합니다. fixed : 스크롤과 상관없이 항상 문서 최 좌측상단을 기준으로 좌표를 고정합니다. inherit : 부모 태그의 속성값을 상속받습니다. 좌표를 지정해주기 해서는 left, right, top, bottom 속성과 함께 사용합니다. position 을 absolute 나 fixed 로 설정시 가로 크기가 100%가 되는 block 태그의 특징이 사라지게 됩니다. ..

STUDY/디자인 2020.12.14

[CSS] float 속성

[개요] float 라는 단어는 원래 '뜨다'라는 의미이며, 원래 웹페이지에서 이미지를 어떻게 띄워서 텍스트와 함께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속성입니다. inherit : 부모 요소에서 상속 left : 왼쪽에 부유하는 블록 박스를 생성. 페이지 내용은 박스 오른쪽에 위치하며 위에서 아래로 흐름. right : 오른쪽에 부유하는 블록 박스를 생성. 페이지 내용은 박스 왼쪽에 위치하며 위에서 아래로 흐름. 이후 요소에 clear 속성이 있으면 페이지 흐름이 달라짐. none이 아니라면 display 속성은 무시된다. none : 요소를 부유시키지 않음 left 와 right 를 통해 부유속성을 지정시 display 는 무시됩니다.(none은 제외) 또한 이후 요소에 clear 속성이 있으면 페이지 흐름이 달라..

STUDY/디자인 2020.12.12

[CSS] display 속성

[개요] display 속성은 요소를 어떻게 보여줄지를 결정합니다. 주로 4가지 속성값이 쓰이는데, 태그마다 기본값이 다릅니다. none : 보이지 않음 block : 블록 박스 Inline : 인라인 박스 Inline-block : block과 Inline의 중간 형태 none 요소를 렌더링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visibility 속성을 hidden 으로 설정한 것과 달리, 영역도 차지하지 않습니다. [예시] [결과] block div태그, p태그, h태그, li태그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기본적으로 가로 영역을 모두 채우며, block 요소 다음에 등장하는 태그는 줄바꿈이 된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word 같은 문서에서 문단을 표시할 때, 한 문단이 끝난 뒤에 나타나는 요소는 항상 다음 줄에 ..

STUDY/디자인 2020.12.10

[CSS] border 속성

[개요] border 속성은 태그의 테두리를 설정하는 속성으로, background 속성과 비슷하게 세부적인 속성들을 한번에 쓸 수 있는 속성입니다. width-style-color 의 순서로 사용합니다. border-width 테두리의 두꼐로, 주로 px단위를 사용합니다. border-style 테두리의 스타일로 실선, 점선, 이중선 등의 옵션이 존재합니다. border-color 테두리의 색상으로, 값은 color 속성의 포맷을 사용합니다. [예시] [결과] [방향] 테두리의 특정 방향만 따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border-top border-bottom border-left border-right border-bottom-color 처럼 방향과 색, 두께, 스타일을 따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STUDY/디자인 2020.12.09

[CSS] background 속성

[개요] background 속성은 태그의 배경을 지정하는 속성으로, font 속성과 비슷하게 세부적인 속성들을 한번에 쓸 수 있는 속성입니다. 아래의 세부적인 속성을 가집니다. background-color 배경 색 background-image 배경 이미지 background-repeat 배경 이미지 반복 여부 background-position 배경 이미지 위치 [background-color] 배경색을 의미하며, 값은 color 속성의 포맷을 사용합니다. ※ 태그의 크기가 없을 경우 배경색을 표기되지 않습니다. [예시] [결과] [background-image] 배경 이미지를 설정하며, 주로 이미지 경로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경로는 background-image:url("이미지 경로")..

STUDY/디자인 2020.12.0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