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용어 12

eCPM(Effective Cost Per Mille)

eCPM은 '1000회 유효 노출 당 비용'입니다. 이는 CPM과 CPC, CPA 등을 종합하여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 지표인데요. 앞에서 설명드린 CPM, CPC, CPI, CPA는 각각 다른 기준으로 과금이 계산되기 때문에 어떤 광고가 효율적이었는지 계산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eCPM은 통합해서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다른 지표보다 광고 효율을 판단하기 좋은 편이죠. eCPM 특징 - 종합적 평가: 여러 지표를 종합하여 광고 성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비교 분석: 다양한 광고 형태와 캠페인을 효과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STUDY/기획 2025.04.23

게임 마케팅 용어 정리

[유저관련 지표] UV (Unique visitor) : 일정기간 내에 게임의 접속(방문)한 실제 유저 수로 한 유저가 여러번 방문해도 1로 카운트 한다. DAU (Daily Active User) : 일단위로 측정한 UV WAU (Week Active User) : 주단위로 측정한 UV MAU (Monthly Active User) : 월 단위로 UV 측정 RU (Registered User) : 일정기간내에 게임에 등록된 유저 수 NRU (New Registered User) : 일정기간내에 등록된 신규 유저 수. ARU (Accumulate Register User): 해당 기간까지의 등록된 누적 유저 수 재방문 UV : 해당 기간 동안 게임 클라이언트에 2회 이상 로그인한 회원 수 MUV (Mul..

STUDY/기획 2021.11.10

[용어] 작업 분할 구조도_WBS(Work Breakdown Structure)

1. WBS 란 (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분해도 프로젝트의 범위와 최종산출물을 세부요소로 분할한 계층적 구조 2. WBS 작성방법 1) 전체를 큰 단위로 분할 2) 각각의 부분에 대해 좀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하여, 계층적으로 구성 3) 워크 패키지 작업 (부분을 구성하는 일련의 작업 단위) 4) 담당인원을 배치 구성도 완성 3. WBS 의 역할 WBS는 전체 업무를 분류하여 구성 요소로 만든 후 각 요소를 평가하고 일정 별로 계획하며 그것을 완수할 수 있는 사람에게 할당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1) 프로젝트에서 수행할 업무를 식별 프로젝트의 시작은 프로젝트 관리자의 임명에서 시작되며, 프로젝트의 주 관리자인 PM이 프로젝트의 모든 예산을 수립하는데, 이러한 예산은 요구사항에 근..

STUDY/기획 2021.07.15

머신러닝 용어집

A/B 테스트(A/B testing)둘 이상의 기법을 통계적으로 비교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기존 기법과 새로운 기법을 서로 비교합니다. A/B 테스트의 목표는 더 우수한 기법을 찾는 것뿐만 아니라 그 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A/B 테스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일 측정항목을 사용하여 두 기법을 비교하지만, 적용 가능한 기법 및 측정항목의 수에는 유한성의 범위 내에서 제한이 없습니다. 정확성(accuracy)분류 모델의 예측이 얼마나 정확한지를 의미합니다. 다중 클래스 분류에서 정확성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정확성정확한예측총예시수정확성=정확한 예측총 예시 수이진 분류에서 정확성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정확성참양성참음성총예시수정확성=참양성+참음성총 예시 수참양성 및 참음..

STUDY/etc 2021.04.26

[용어] 도메인 지식

도메인 지식이란 특정한 전문화된 학문/분야의 지식을 말하는 데, 회사에서는 회사가 속한 산업과 주요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지식(Business Knowledge)을 말합니다. 도메인(domain)이란 단어는 영토, 분야, 영역, 범위를 뜻하는 단어(예를 들어 소유지, 토지 소유권(법률) 등)였으나 인터넷 주소의 의미로 확장되었다. 어떤 전문 분야에 대해 얘기할 때 해당 도메인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와 같이 말하기도 합니다.

STUDY/etc 2021.03.08

스켈레톤 UI (Skeleton UI)

스켈레톤 UI는 실제 데이터가 렌더링 되기 전, 보일 화면의 윤곽을 먼저 그려주는 로딩 애니메이션. 사용자에게 ‘어떤 것들이 보여질 것이다’라고 알려주는 화면의 예고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로딩이 완료되면 윤곽에 데이터가 대체되어 화면이 부드럽게 전환되기 때문에 체감 로딩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으나 화면마다 새로운 스켈레톤 UI를 적용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음. 예시> YouTube Linked in

STUDY/APP 2020.09.15

[용어] 인링크 , 아웃링크

`인링크`와 `아웃링크`는 네이버 다음 구글 같은 포털이나 검색엔진이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인링크(Inlink)`는 그대로 해석하면 `안으로 연결한다`는 뜻이죠. 이는 사용자가 포털 메인에 떠 있는 뉴스 제목을 클릭하면 뉴스 본문을 `포털 안`에서 보여주는 뉴스 서비스 방식. 아웃링크(Outlink)`는 기사의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 사이트로 곧장 연결해주는 뉴스 서비스 방식대표적으로 구글이 `아웃링크` 방식으로 뉴스 서비스를 제공.

STUDY 2020.02.18

[용어] 다크넛지

■ 다크 넛지는 옆구리를 슬쩍 찌른다는 뜻의 넛지(nudge)와 어두움을 의미하는 다크(dark)가 결합된 단어. 넛지는 마케팅 영역에선 팔꿈치로 옆구리를 툭 찌르듯 특정 행동을 은연중에 유도하는 것을 가리키는데 여기에 부정적인 의미의 다크를 결합해 비합리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상술을 가리키게 되었음. 기업이 이익을 취하기 위해 소비자가 비합리적인 소비를 하도록 유도하는 행태를 뜻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시간을 들여 최저가를 찾아 결제하려고 하면 추가 비용이 생기는 것 등이 다크 넛지에 해당한다.

STUDY 2020.01.29
728x90